경북 봉화군 청량산박물관에서 2025년 5월 22일부터 7월 27일까지, 백제 사비시대의 대표적 유물인 무늬 벽돌 6점이 전시됩니다. ‘국보순회전 – 백제명품, 백제문양전’은 국립중앙박물관 주최로, 국립경주박물관과 청량산박물관이 공동 주관합니다.
전시 개요
‘모두가 함께하는 180일의 여정’이라는 슬로건으로 열리는 이번 순회전은, 백제 문양전(文樣塼·무늬벽돌) 6점을 통해 고대 건축미와 백제의 조형 감각을 조명합니다.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산수무늬전과 도깨비무늬전이 포함되어 있어 교육적 가치도 큽니다.
문양전은 주로 건물의 바닥이나 벽을 꾸미는 타일 형태로, 연꽃, 봉황, 용, 도깨비 등 불교와 도교의 상징적 이미지가 새겨져 있습니다. 특히 이 유물은 금동대향로와 함께 백제 문화의 정수로 손꼽히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식 벽돌’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백제 장식벽돌의 독창성과 미의식
백제 장식벽돌은 1937년 충남 부여에서 긴급 발굴된 것으로, 당시 220여 점의 무늬 벽돌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중 일부가 국보급 유물로 지정되었으며, 산수의 이상향과 신화적 상상력이 결합된 조형미는 백제인의 미의식과 사상적 배경을 잘 보여줍니다.
특히 용무늬 벽돌은 유려한 선과 정밀한 곡선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으며, 원형의 배치 안에 움직이는 듯한 생명력을 담아내어 보는 이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이는 건축을 장식하면서도 사찰의 정화적 의미를 담은 실용성과 예술성의 절묘한 결합입니다.
‘180일의 여정’ 속 백제 문화의 정수
이번 전시는 '모두가 함께하는 180일의 여정, 국보순회전 – 백제명품, 백제문양전'이라는 이름으로 열리며, 국립중앙박물관이 주최하고 국립경주박물관과 청량산박물관이 공동 주관합니다.
전시의 중심은 백제 사비시대의 대표적 건축 장식 유물인 무늬 벽돌(文樣塼)입니다. 특히 산수무늬전과 도깨비무늬전은 국내 중·고교 교과서에도 실릴 만큼 널리 알려진 유물로, 관람객에게 문화적 친숙함을 제공합니다.
이 무늬벽돌은 단순한 타일이 아니라, 건축의 바닥과 벽에 사용되어 연꽃, 산수, 도깨비, 봉황 등의 상징적 무늬를 담고 있으며, 도교와 불교 세계관이 결합된 백제인의 사상과 미의식을 반영합니다. 금동대향로와 함께 백제문화의 최고 정수로 평가받는 이 벽돌들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식 벽돌’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박현국 봉화군수는 “이번 국보순회전을 통해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지역민들의 문화 향유권이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청량산박물관 방문 안내
- 주소: (36257) 경북 봉화군 명호면 광석길 39
- 연락처: 054-679-6671~2 / Fax. 054-679-6659
- 홈페이지: http://bonghwa.go.kr/open.content/mt/
관람 정보
- 관람 시간:
- 동절기(11~2월): 09:00 ~ 17:00
- 하절기(3~10월): 09:00 ~ 18:00
-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연휴
- 관람료: 무료
전시 요약
- 전시명: 국보순회전 – 백제명품, 백제문양전
- 기간: 2025년 5월 22일 ~ 7월 27일
- 장소: 청량산박물관
- 주최: 국립중앙박물관
- 공동주관: 국립경주박물관, 청량산박물관
청량산박물관 바로가기
마무리하며
이 전시는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백제의 미의식과 정신 세계를 마주하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가족 단위 관람객, 역사에 관심 있는 분들, 학생들 모두에게 유익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최신 뉴스 & 정책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이른 장마, 한국 방문 시 주의할 점은?정부도 대비하는 이번 여름, 미국 동포가 꼭 알아야 할 안전 가이드 (0) | 2025.06.01 |
---|---|
틱톡 생방송 중 피살된 인플루언서 발레리아 마르케스, 멕시코 청부살해 의혹으로 번진 충격 (3) | 2025.05.18 |
영주권도 언제든 무효? 미 법무부 “법무장관 재량으로 취소 가능” 주장에 영주권 박탈 위기 충격 확산 (0) | 2025.05.17 |
영주권도 언제든 무효? 미 법무부 “법무장관 재량으로 취소 가능” 주장에 영주권 박탈 위기 충격 확산 (0) | 2025.05.17 |
출생시 시민권 제한, 트럼프 행정명령의 헌법성 논쟁 – 대법원 첫 심리 정리 (0) | 2025.05.17 |